평일 출근 시간대와 퇴근 시간대, 지하철은 말 그대로 '지옥철'이 됩니다. 지하철을 이용하는 직장인들은 짧게는 30분, 길게는 1~2시간 동안 지하철에서 시간을 보내야 합니다. 앉아서 가면 그나마 다행이죠. 다시 눈을 붙여 잠을 잘 수 있고 다리의 피로를 덜 할 수 있는데요. 서서 가는 경우는 양옆에 있는 사람들이 어깨를 부딪칠 정도로 붙어 서야 합니다. 또 승객들이 한꺼번에 몰리면 눈앞에서 전동차를 그냥 보내기도 합니다. 이때 지하철의 좌석을 없앤다면 어떠실 것같나요?
CONTENTS
1. 내년부터 '좌석 없는 칸' 사업 시범 도입
2. 시민들의 반응
1. 내년부터 '좌석 없는 칸' 사업 시범 도입
내년 1월부터 서울 지하철에서는 '좌석 없는 칸'을 볼 수 있습니다. 2023년 11월 1일, 서울 지하철 1~8호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는 내년 1월부터 출퇴근시간대에 운행하는 지하철 4호선과 7호선에 2칸의 좌석을 모두 제거하는 이른바 '입석칸'을 시범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출퇴근 시간대 서울 지하철 혼잡도를 완화한다는 취지로 실행되는 사업인데요. 지난달 말부터 출퇴근대 열차 운행 횟수가 늘었지만, 상황은 좀처럼 나아지지 않자 공사는 일부 전동차 객실의 의자를 없애보기로 한 것입니다.
4호선과 7호선 열차 각 1대당 2칸, 총 4칸의 일반석 의자를 제거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의자를 없애면 열차 한 칸 당 12.6㎡(3.8평)의 탑승 공간이 확보되어 혼잡도를 낮출 수 있다는 구상입니다. 공사는 열차 2칸의 의자를 없애는 사업을 시범운행한 뒤 시민 선호도 조사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시범 사업 시행 뒤 효과성이 입증되면 추후 다른 열차와 노선으로도 사업을 확대 시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출퇴근 시간대 혼잡도가 높은 차량에서 객실 의자 아래 주요 물품이 배치되지 않은 호자를 선정해서 사업을 우선 추진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시범 사업 대상인 지하철 4호선과 7호선은 의자 밑 중요 구성품이 적으며, 2023년 3분기 기준 분석 결과, 최고 혼잡도가 각각 193.4%, 164.2%에 달해 혼잡도가 가장 밀집이 심한 호선입니다. 승차 정원보다 거의 2배 가까운 승객이 탑승한다는 겁니다. 지하철 혼잡도는 지하철 한 칸에 160명이 탑승하면 이를 100으로 기준해 그 이상이 타면 숫자가 늘어나는 수치로, 혼잡도 170% 이상은 철도 비상사태가 발생한 것으로 간주되는 '심각' 단계입니다.
1호선(108.2%), 6호선(111.6%), 5호선(130.9%), 8호선(140%), 3호선(144.2%), 2호선(148.6%) 등 다른 호선은 아무리 붐벼도 혼잡도가 150%를 넘어서지 않는 것을 보면 4호선과 7호선의 혼잡도가 높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열차 각 1대당 2칸, 총 4칸의 의자를 제거한다는 것은 한 칸에 좌석 42석이 있으므로 각 지하철 1대에서 총 84개의 좌석이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4호선은 153.4%, 7호선은 130.1%까지 혼잡도가 내려갈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좌석이 사라지는 칸은 주요 환승역의 출구 계단과 가까워 가장 붐비는 위치의 칸이 될 예정입니다. 각 칸 양쪽 끝에 있는 노약자석은 유지됩니다.
2. 시민들의 반응
하지만 서울교통공사의 '입석칸 도입' 발표에 승객들의 반응은 좋지 않은데요. 두 칸을 입석칸으로 만든다고 해도 줄 서 있는 사람들이 더 탈 것이기 때문에 크게 의미가 있을까 싶다는 의견과 그나마 좌석이 있어서 숨 쉴 틈이라도 있었는데 이것마저도 없애면 어쩌냐는 의견과 출퇴근 시간에 지하철을 직접 타고 최소 30분, 최소 일주일을 서서 출퇴근해보긴 했냐는 비판적인 반응이 많습니다.
한편, 2005년에는 출퇴근 시간대 지하철 혼잡도를 줄이기 위해 '접이식 의자'가 설치되기도 했는데요. 하지만 당시 사람들이 다치거나 의자가 고장 나는 등 문제가 많이 발생하게 되자 얼마 지나지 않아 사라졌습니다. 이번 서울교통공사의 '좌석 없는 칸'이 과연 지하철 혼잡도를 완화할 수 있을지 지켜봐야겠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4년 바뀌는 주택청약 신청 조건 총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청약 신청을 계획 중이신 분이라면 알고 계셔야 할 '2024년부터 달라지는 주책청약신청 조건'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주택청약이란 청약통장에 가입을 해서 기간,
milkteayaa.tistory.com
서울 근교 단풍 명소 BEST 4
가을이 깊어져가고 있습니다.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2023년 단풍시기는 10월 중순부터 11월 초까지로 예상됩니다. 보통 단풍의 절정 시기는 첫 단풍 이후 2주로 볼 수 있습니다. 2023 첫 단
milkteayaa.tistory.com
서울 근교 단풍 명소 BEST 3
10월 단풍의 계절입니다. 가족, 친구 또는 연인과 함께 가을 단풍 구경하러 갈만한 곳을 찾고 계실 것 같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울 근교 단풍 명소 3곳을 소개하겠습니다. CONTENTS 1. 경기 광
milkteayaa.tistory.com